1 | I realized that I was more turned on by this gravy boat than by Barry. | 나는 Barry 보다 이 소스 그릇에 의해 더 설렌다는 것을 깨달았어. |
2 | anyway, I just had to get out of there. | 아무튼, 난 그냥 그곳에서 나와야 했어. |
3 | well, it matters to me. | 아니 저한테는 그게 중요해요. |
4 | don’t do that again. | 제발 다시는 그러지 마세요. |
5 | he finally asked you out? | 그가 마침내 너에게 데이트 신청했어? |
6 | what’re you up to tonight? | 너 오늘 밤에 뭐 할 거야? |
7 | let me ask you a question. | 나 너한테 뭐 하나 물어보자. |
8 | you got screwed. | 넌 사기 당한거야 |
9 | it’s about me. | 나에 관한 거야 |
10 | do you think it would be okay if I asked you out? | 너 괜찮다고 생각해? 내가 만일 너한테 데이트 신청하면? |
변형
1.I realized that I was more turned on by this gravy boat than by Barry.
나는 Barry 보다 이 소스 그릇에 의해 더 설렌다는 것을 깨달았어.
that절, 대표적인 명사절로 접속기능과 함께 절을 한번 더 쓸 수 있게 해준다.
that절이 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경우 that이 생략되어
I realized I was more turned on by this gravy boat than by Barry. 로도 쓸 수 있다.
that절은 크게 명사절 that, 관계대명사 that, 동격의 that이 있다.
①명사절 that은 말 그대로 명사역할을 하며 절 안의 문장 성분이 완전하다.
②관계대명사 that은 앞에 나온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며 절 안의 문장이 불완전하다.
③동격의 that은 절 안이 완전하다. 형용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는데 앞에 나온 명사의 정보를 말해준다.
I saw the news that he came back here.
나는 그가 이곳에 돌아왔다는 뉴스를 봤다.
여기서 that he came back here이 동격의 that절이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that절이 동격이라는 것이다.
the news=he came back here
즉, 뉴스에 대한 정보를 that절에 담고 있어야한다.
정보성이 있는지 없는지로
명사절 that이 목적격보어로 쓰였는지 동격의 that으로 쓰였는지 구분할 수 있는 힌트가 된다.
I realized that I always didn't do my best. 나는 항상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어.
I realized that I had loved him all that time. 나는 내가 줄곧 그를 사랑해왔다는 것을 깨달았어.
I realized that I need to exercise. 나는 내가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어.
2.anyway, I just had to get out of there.
아무튼, 난 그냥 그곳에서 나와야 했어.
had to는 조동사 have to의 과거형태이다.
여기서 to는 to부정사로 쓰인 것이 아니라 have to 자체가 조동사이기 때문에
have to 뒤에는 항상 동사원형이 온다. must의 과거를 표현할 때 had to를 사용하니 잘 알아두면 좋다.
anyway, I just had to be quiet there. 아무튼, 난 그냥 그곳에서 조용히 있어야 했어.
anyway, I just had to go home. 아무튼, 난 그냥 집으로 가야 했어.
anyway, I just had to see you. 아무튼, 난 그냥 너를 봐야 했어.
정리
1.that
that절은 크게 명사절 that, 관계대명사 that, 동격의 that이 있다.
①명사절 that은 말 그대로 명사역할을 하며 절 안의 문장 성분이 완전하다.
대표적인 명사절로 접속기능과 함께 절을 한번 더 쓸 수 있게 해준다.
that절이 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경우 that이 생략되어 쓸 수 있다.
②관계대명사 that은 앞에 나온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며 절 안의 문장이 불완전하다.
③동격의 that은 절 안이 완전하다. 형용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는데 앞에 나온 명사의 정보를 말해준다.
즉, 정보성을 담고있어야 한다.
2.have to
had to는 조동사 have to의 과거형태이다.
여기서 to는 to부정사로 쓰인 것이 아니라
have to 자체가 조동사이기 때문에 have to 뒤에는 항상 동사원형이 온다.
must의 과거를 표현할 때 had to를 사용하니 잘 알아두면 좋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_미드 프렌즈 1회_문장 뽑아내기(3) (2) | 2022.05.23 |
---|---|
영어_미드 프렌즈 1회_문장 뽑아내기(1) (0) | 2022.04.05 |
댓글